자판기 형태의 세븐일레븐 익스프레스 4곳에서 시범운영 본사와 점주가 행복한 형태, 알바생 채용 감소는 불가피 전문가들 "4차산업혁명 시대에 어쩔수 없는 변화, 받아들여야"
최근 무인결제시스템을 도입해 인건비를 줄이는 매장이 늘어나는 가운데, 편의점 세븐일레븐이 자판기 형태로 만들어진 편의점 ‘세븐일레븐 익스프레스(Express)’를 시범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점포에 판매원이 없어도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 걱정 없이 매장을 운영할 수 있고, 본사 입장에서는 가맹점 수익과 경쟁력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게 됐다.
하지만 편의점에서 일하는 알바생 입장에서는 마냥 달가운 소식은 아니다. 사람이 일자리를 기계에 뺏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 때문이다.
세븐일레븐 익스프레스, 본점 관리하의 ‘위성 무인편의점’ 작지만 있을 건 다있어…자판기 옆에 전자레인지·온수기까지
세븐일레븐 익스프레스는 기존 가맹점의 세컨드 점포 기능을 수행할 목적으로 개발된 일종의 ‘위성점포’로, 매출·발주·재고관리·정산 등의 운영시스템이 본점과 연결돼 본점의 관리 하에 무인시스템으로 운영되는 점포다.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의미를 담아 익스프레스(Express)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디자인 콘셉트 역시 고속 기차를 형상화 한 것이 특징이다. 규모는 넓이 10.8m, 높이 2.5m, 폭 1m 가량이다.
5대의 자판기 형태로 구현된 세븐일레븐 익스프레스는 고객 수요가 높은 5개 카테고리 △음료 △스낵 △푸드 △가공식품 △비식품 200여종을 갖추고 있으며, 매출이 높은 소용량 상품 위주로 구성됐다. 담배나 주류는 세븐일레븐 익스프레스에서 취급하지 않는다.
자판기 옆에는 전자레인지와 온수기가 함께 설치돼 있어 라면이나 도시락 등을 즉석해 조리해 먹을 수 있으며, 빨대나 티슈·나무젓가락 등의 소모품도 구비돼있다. 푸드 자판기엔 상품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받침대’가 별도로 설치돼 있어 상품을 원형 그대로 받아 볼 수 있다.
나머지 4개 카테고리 자판기는 2개가 1조로 구성되며 각각 중앙 키오스크 시스템으로 동작한다. 상품의 실물 위치를 확인하고 키오스크 화면을 좌우로 이동시켜 해당 카테코리 및 상품을 선택하면 된다.
1회 구매 수량은 3개까지 가능하며 결제 수단은 현재 신용카드와 교통카드로만 가능하다. 향후 세븐일레븐은 핸드페이와 엘페이까지 결제수단을 확대할 계획이다.
세븐일레븐은 현재 서울 중구 세븐일레븐 본사 17층에 2곳의 세븐일레븐 익스프레스를 설치하고, 롯데기공과 롯데렌탈 본사에 각각 1곳씩 설치해 총4곳에서 시범 운영을 하고 있다. 시범운영기간이 끝난 이후 빠르면 9월부터 실제 가맹모델로서의 상용화가 본격화될 예정이라고 세븐일레븐 측은 밝혔다.
세븐일레븐에서는 “갈수록 치열해지는 경쟁 속에서 경영주의 수익과 운영 만족을 높일 수 있는 확실한 모델이며 고객들에게도 재밌고 편리한 새로운 쇼핑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모습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편의점 알바생들의 일자리가 없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세븐일레븐 측은 “세븐일레븐 익스프레스의 경우, 분점 형태의 개념에 가깝기 때문에 실제 매장의 인력감소로 이어지긴 어렵다. 정확히는 점주들의 수익을 개선하고 동시에 본사에서도 보다 많은 고객에게 서비스하기 위한 새로운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본점의 개념인 마더(Mother)점포가 있고, 세븐일레븐 익스프레스는 마더점포에 귀속되는 분점의 형태기 때문에 본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점주들의 수익이 늘어나는 모델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세븐일레븐 익스프레스 외에도 많은 곳에서 무인기 도입이 가속화 되면서 사람이 기계에 일자리를 뺏길 것이라는 공포는 점차 현실화 되는 모습이다. 이마트24·CU 등이 무인편의점 시스템을 도입하기 전에는 롯데리아·버거킹·맥도날드 등 패스트푸드점에서 무인주문기를 도입했다. 이는 알바생 채용 감소로 이어진 것이 현실이다.
최저임금이 인상된다 하더라도 앞으로 단순노동 분야를 기계가 상당 부분 대체할 경우, 점주들이나 본사가 안아야 하는 인건비 손해는 적어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4차산업혁명의 여파로 무인점포는 더욱 많아질 것이다. 이는 어쩔수 없이 받아들여야 하는 현실”이라며 시대변화의 흐름에 맞춰 일자리 형태도 변화될 것이라 말한다.
문화저널21 박영주 기자 <저작권자 ⓒ 문화저널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홈페이지 하단 메뉴 참조 (ad@mhj21.com / master@mhj21.com)
![]()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