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바이옴 사업 관련 전략적 투자 및 파트너십 구축 경쟁력 확보 및 차세대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공동개발
아모레퍼시픽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전문 기업 에이치이엠(이하 HEM)과 마이크로바이옴 사업 협력 강화를 위한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투자 협약식은 양사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9일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HEM 광교연구소에서 진행됐다.
인체에 서식하는 미생물과 그 유전정보를 의미하는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최근 헬스케어 연구 분야에서 특히 주목받고 있으며,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로도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은 1997년부터 미생물을 포함한 피부·두피·모발의 특성에 관해 국내외에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또한 2010년에는 제주 돌송이차밭 유기농 녹차에서 식물성 녹차 유산균주(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P설록 331261)를 독자 발견하기도 했다.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은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전문 기업 HEM과 녹차유산균의 우수한 효능을 밝혀내기 위해 다양하게 협업해왔다. 이 과정에서 HEM의 최고기술경영자(CTO)이자 세계 식품 미생물 및 위생 연합(ICFMH) 회장 빌헬름 홀잡펠 교수, HEM 대표인 지요셉 박사 연구팀과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이번 협약은 그동안 이어온 협력 관계를 더욱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양사는 향후 아모레퍼시픽만의 차별화된 녹차유산균 연구 개발 협업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 차세대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공동 개발,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분야 협업을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아모레퍼시픽 박영호 기술연구원장은 “이번 협약은 장기간 쌓아온 아모레퍼시픽의 미생물 연구와 제품 개발 역량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선도하는 HEM과 만나 상호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협업”이라며 “녹차유산균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더욱 강화하고 혁신적 제품을 개발해 선보일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HEM 지요셉 대표 역시 “아모레퍼시픽과 같은 글로벌 선도 기업과 함께 협약할 수 있음에 영광”이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HEM의 장내미생물 전문성이 아모레퍼시픽의 연구 및 제품 개발 역량과 함께 시너지를 내어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 내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화저널21 박영주 기자 <저작권자 ⓒ 문화저널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홈페이지 하단 메뉴 참조 (ad@mhj21.com / master@mhj21.com)
댓글
아모레퍼시픽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