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세계피부연구학회 학술회의에서 성과 발표해 바이오 빅데이터 분석 통해 장벽 형성 EGR3 발견 후성유전학적 조절 기전 규명, 화장품 소재화 연구 진행
아모레퍼시픽은 바이오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해 피부 장벽 형성을 조절하는 ‘EGR3 유전자’의 역할과 후성유전학적 기전을 규명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5월 3일부터 8일 사이에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세계피부연구학회 연례학술회의에서 ‘EGR3의 후성유전학적 조절에 의한 피부 장벽 형성(Skin Barrier Formation by Epigenetic Regulation of EGR3)’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됐다.
세계피부연구학회는 피부연구 분야에서 가장 권위있는 학회다. 아모레퍼시픽은 해당 학회에서 2019년 화장품 업계 최초로 구두 발표했으며 이번이 두번째다.
피부장벽은 외부환경의 다양한 유해인자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일차 방어막이다. 피부장벽이 정상적으로 형성돼 기능하기 위해서는 표피의 과립층에 있는 각질형성세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그동안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와 발달 과정에 관해서는 연구가 많았지만, 이를 총체적으로 조절하는 유전자를 찾기는 쉽지 않았다.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한방과학 연구센터 김규한 박사는 바이오 빅데이터 연구를 통해 표피의 과립층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인 EGR3 유전자가 피부 장벽을 형성하는 유전자임을 확인했다.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염 및 피부 편평세포암종 등의 병변 부위에서는 이 유전자의 발현이 현격히 줄어든 것도 관찰했다.
인공 피부모델을 통해 살펴본 결과, EGR3의 기능이 억제되면 부전각화증이 일어나고 건강한 피부장벽을 만들 수 없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EGR3가 피부 장벽 형성에 중요한 유전자들의 발현을 통합적으로 조절하는데 있어 인핸서 RNA(Enhancer RNA)를 통한 후성유전학적인 방법을 이용한다는 것도 발견했다.
아모레퍼시픽은 장벽 형성 과정에서 EGR3의 역할을 찾고, 후성유전학적 조절 기전을 규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작약 뿌리 추출물을 처리하면 각질형성세포의 EGR3 발현이 선택적으로 증가하며 이를 통해 피부 장벽이 강화된다는 사실을 알아내기도 했다. 이와 함께 화장품 소재화 단계까지 연구를 진행했다.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은 “70여년 간 제품 연구개발과 피부 과학 발전을 위해 노력해왔다. 이번 연구에서 얻은 성과를 바탕으로 화장품 소재를 개발해 자사 제품에 적용했다”며 “향후 피부와 피부 유전자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규명하고 더 나은 피부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할 예정”이라 밝혔다.
문화저널21 박영주 기자 <저작권자 ⓒ 문화저널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홈페이지 하단 메뉴 참조 (ad@mhj21.com / master@mhj21.com)
댓글
아모레퍼시픽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