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작전사령부 예하부대인 6항공전단(준장급 지휘부대)을 모체로 해군항공사령부(소장급 지휘부대)가 7월 15일 창설되었다.
6·25전쟁을 거치면서 한국해군의 항공전력 보유 열망이 고조된 시기였던 1951년 8월 25일 조경연 중위(OCS 9기)를 중심으로 한 14명의 자체 기술진이 미군이 두고간 항공기를 개조제작한 해군 최초의 수상정찰기인 '해취호(海鷲號)'가 취역한지 71년 만이다.
해군항공의 역사는 우여곡절을 많이 간직하고 있다. 1957년 쌍발 수상정찰기인 '제해호(制海號)'를 제작하고 같은 해 한국함대 항공대를 창설하고 운용 중 외압에 의해 1963년 해체되는 불운을 겪게 되었다.
그러다 1970년 미국의 닉슨독트린과 1968년 울진·삼척지구 무장공비침투사건 등 대내외적인 안보 위기상황 고조로 해상경비작전 개념이 기존의 접적해역 중심에서 연안방어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해·공군 입체작전을 위한 해상초계기와 지원용 항공기 확보 필요성이 급부상하여 1973년 공군에서 인수한 O-1정찰기 13대로 해군 함대항공대를 재창설하였다.
이후 S-2해상초계기, ALT-Ⅲ 함정 탑재 해상작전헬기 등 다양한 기종의 항공기를 운용하게 된 함대항공대는 다시 조직과 기능을 정비하여 1977년 1월 전단급(준장급 지휘) 부대인 함대항공단을 창설하고 모 기지를 포항으로 이전하였으며 1983년에는 구축함(강원함/DDH-922)에 탑재하고 임무중인 ALT-Ⅲ가 울릉도 근해 해상 침투중인 북한 간첩선을 격침시키는 작전성과를 이루었다.
1986년 이후 북한의 국지도발에 대비한 서북도서지역 중심의 전투준비태세 강화와 조기경보태세 확립을 위해 작전운용개념을 공세적 방어 및 적극적 반격개념의 해역함대 중심으로 변경됨에 따라 항공전력을 지원하는 해군유일의 항공부대로 해군작전사령부 6항공전단으로 1986년 2월 개편되었다.
특히, 1990년부터 2016년까지는 UH-1H해상기동헬기 / LYNX 해상작전헬기 / AW-159해상작전헬기 / P-3C해상초계기 확보를 통해 대잠수함작전 수행능력을 향상시켰으며 UH-60상륙기동헬기와 CRAV-Ⅱ 대공표적예인기를 도입하는 등 급속한 항공전력 증강으로 해군항공역사의 기틀을 마련한 시기였다.
한편, 1998년 12월에는 S-2해상초계기가 남해 돌산도 근해에서 해안 침투 중이던 북한 잠수정을 2.75인치 로켓으로 공격하여 격침시켰으며 1997년 11월에는 P-3C해상초계기가 중국해군 MING급 잠수함을 서해상에서 스노켈 항해중인 것을 발견, 접촉하여 강제부상 조치함으로써 중국해역으로 퇴거시킨 작전성과 등 무수히 많은 역할을 수행해왔다.
이번 해군항공사령부 창설은 국방개혁 2.0 군 구조개선 추진계획에 따라 해상항공작전의 임무 확장과 P-8A 해상초계기 및 MH-60 해상작전헬기 도입 등 해군 항공전력의 급속한 증가 및 향후 예상되는 한·일간 독도 영유권문제, 한·중간 이어도해역을 포함한 배타적 경제수역(EEZ : Exclusive Economic Zone) 획정에 관한 관할권 문제에 따른 대응 등 광해역 해상항공작전의 완전성 보장을 통한 해상항공작전부대의 효율적인 통제관리를 위해 사령부급으로 확대 개편되는 것이다.
기존 해군작전사령부의 작전운용계획에 따른 항공전력지원부대라는 소극적인 역할에서 탈피하여 독자적인 정보감시정찰(ISR) 및 해상초계작전 등 독립적인 작전임무계획을 수립하여 해상항공작전권을 행사하는 기능사령부로 역할이 확장된다는 것이다.
이는 지난 2015년 2월 1일 창설된 해군잠수함사령부가 해군작전사령관의 지휘하에 단독으로 잠수함 수중작전 임무를 수행하는 동일한 기능사령부 역할을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전·평시 미국(美 인도태평양함대사 7함대 CTF-72)을 포함한 동맹국 외 뉴질랜드·캐나다·호주 등 인도·태평양지역 우방국들과 연합/합동 해상항공작전협력체제(해상초계운용능력 향상)를 구축하고 해군의 3축전력(수상함, 잠수함, 항공기) 중 하나인 항공 전력을 책임지는 독자적인 해상작전부대로 확고한 위치를 구축해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글로벌 중추국가로써 국가 핵심이익을 보호하며 해양주권을 수호하는 국가안보의 핵심 전략자산인 항공모함 전력사업 추진과 병행하여 함재기인 F-35B 도입·운용에 있어 공군에 의한 기체 및 조종·정비인력 파견 운용의 제한사항 발생 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책으로 해군단독의 함재기 운용을 위한 병력·정비능력 준비도 과거 P-3C 인수 경험을 보더라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 이에 대한 적극적인 해군의 의지 표명과 현실적인 대안 검토가 필요하다 하겠다.
향후 대수상함작전, 대잠수함작전, 소해작전, 탐색·구조작전, 해상ISR작전 등 제반 해상항공작전 수행을 위해 AI 기반 하 최첨단 과학기술이 적용된 유·무인통합 해상항공전력체계 확보와 중·장거리 해상감시정찰용 UAV, 소해작전헬기 도입·운용 등 전작권 전환이후 한반도 전구에서 단독 해군작전을 지원하는 합동성과 연합작전능력을 구비 하는 등 명실상부한 해군항공사령부로의 발전을 기대한다.
우리나라는 북한의 핵·미사일과 군사력 위협이 상존하고 있으며 주변 4대 강대국에 둘러싸인 반도라는 지정학적 한계의 불리한 운명을 가진 국가로 세계경제 10대강국이자 6대 군사강국으로써 국가의 능력과 위상에 걸맞은 독자적인 생존보장을 위한 강력한 해군력 건설을 뒷받침하는 창과 방패가 해군항공사령부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박범진
(사)해군OCS장교중앙회 사무총장 한국해양전략연구소 객원연구위원 (사)이어도연구회 연구위원 (사)한국민방위안전협회 한국재난안전연구소 부소장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예비역 연구위원 (사)독도사랑운동본부 자문위원 한국동북아학회 이사 예비역 해군대령 前 6항공전단 정보참모(소령)
※외부 필진의 기고·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문화저널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박범진의 안보와 전략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