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물리학에서 배우는 핵융합과 <E = mc^2>은 사회적 갈등과 논쟁 해결에 중요한 교훈을 준다. 핵융합은 두 개의 원자핵이 결합해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이다. 이는 질량이 그대로 머무를 때는 발현되지 못하던 에너지가 결합을 통해 새로운 형태로 방출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사회적 갈등에서도 서로 다른 입장들이 만나 본질을 공유하고 융합할 때 비로소 사회적 변화와 혁신을 일으키는 막대한 에너지가 생성된다.
아인슈타인의 방정식 <E = mc^2>은 질량과 에너지가 상호 전환 가능하다는 원리를 설명한다. 하지만 질량은 그 자체로는 큰 에너지를 만들어내지 못한다. 그것이 에너지로 전환되려면 결합과 변화의 과정이 필요하다. 사회적 논쟁도 이와 비슷하다. 찬반 어느 한쪽의 주장만으로는 사회에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없다. 각자의 주장이 고립된 상태에서는 그 잠재력은 발현되지 않는다. 그러나 서로 다른 두 입장이 부딪치고 결합하게 되면, 우리는 상상할 수 없는 사회적 에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
한국에서 의료개혁이나 역사논쟁과 같은 사회적 이슈는 항상 격렬한 찬반 논쟁을 동반한다. 이러한 논쟁의 초기 단계에서는 각자의 입장이 감정적으로 강하게 표출되며, 갈등은 격화되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러한 갈등은 필연적인 과정이다. 중요한 것은, 이 감정적 대립이 극에 달했을 때, 더 나아가 공통된 본질을 찾고 서로 융합하는 단계로 넘어가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찬반 진영은 서로의 입장을 넘어서 진정한 합의를 도출할 수 있다.
특히 의료개혁과 같은 복잡한 사회적 이슈는 양극단의 입장을 단순히 대립시키는 것으로는 해결되지 않는다. 공공의료의 강화와 민간의료의 역할 등 서로 다른 주장들이 모두 한정된 자원과 목표 안에서 조화를 이루어야만 비로소 성공적인 개혁이 가능하다. 역사 논쟁도 마찬가지다. 역사의 해석은 항상 상대적이지만, 미래 세대에게 전달할 올바른 메시지를 찾기 위해선 상반된 주장들이 하나의 본질적인 가치로 결합될 필요가 있다.
결국, 사회적 논쟁에서 핵융합과 같은 과정이 필요하다. 서로 다른 주장이 충분히 충돌하고 그 감정적인 대립이 잦아들 때, 양측은 본질을 중심으로 융합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 이것이 바로 사회적 에너지를 극대화하는 방법이다. 물리학에서 핵융합이 질량을 에너지로 전환하며 상상 이상의 힘을 발휘하듯, 사회적 논의에서도 서로 다른 주장이 결합될 때 비로소 진정한 변화와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다.
한국의 의료개혁과 역사 논쟁과 같은 문제에서, 찬반 진영이 충분히 형성된 후 본질을 함께 찾아 융합하는 것이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핵심 순서다. 왜 갑자기 지금 이 문제를 이슈화하느냐라며 제3자적 관점을 유지함도 피해야 한다.
각자의 입장만을 고집하는 것이 아닌, 상호 존중과 융합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비로소 더 큰 사회적 영향력과 변화의 에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박항준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연구교수 반려가족누림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 한국디지털웰니스협회 부회장 디케이닥터 대표이사 누림경제발전연구원장 기술거래사/기업기술가치평가사 공)저서. 더마켓TheMarket / 스타트업 패러독스 / 크립토경제의 미래 좌충우돌 청년창업 / 블록체인 디파이혁명 / CEO의 인생서재 / 이노비즈 CEO독서클럽 선정도서 21選 (사회관 편) (세계관 편) <저작권자 ⓒ 문화저널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댓글
박항준 칼럼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