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스타 2024' 그라비티, 출품작 17종 '눈길'…라그나로크3 첫 공개

이한수 기자 | 기사입력 2024/11/15 [15:01]

'지스타 2024' 그라비티, 출품작 17종 '눈길'…라그나로크3 첫 공개

이한수 기자 | 입력 : 2024/11/15 [15:01]

▲ 그라비티는 지스타 2024에 50부스 규모로 참가, 다수의 신작을 포함한 총 17종을 출품하고 부스 전체에 시연존을 마련했다.  © 이한수 기자

 

50부스 규모로 참가…총 17종 출품 및 시연

라그나로크3·Project Abyss(가칭) 등 최초 공개

박삐삐 등 인플루언서와 함께하는 무대 '눈길'

 

글로벌 게임 기업 그라비티가 '지스타(G-STAR) 2024'에서 신작을 포함한 다채로운 출품작을 통해 관람객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15일 그라비티에 따르면, 이번 지스타에서 벡스코 제1전시장에 50부스 규모로 참가, 다수의 신작을 포함한 총 17종을 출품하고 부스 전체에 시연존을 마련했다. 

 

특히 제1전시관 입구에 위치해 접근성을 확보하고 부스 내부가 한눈에 보이는 탁 트인 디자인으로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으며 첫날부터 방문객으로 북적였다.

 

그라비티는 부스를 방문한 모든 관람객에 출품작 17종의 정보와 타이틀 쿠폰을 담은 브로슈어를 증정해 출품작에 대한 관심을 유도했다. 

 

▲ 제1전시관 입구에 위치한 '지스타 2024' 그라비티 부스.  © 이한수 기자

 

그중 지스타에서 최초 공개하는 ▲라그나로크3 ▲Project Abyss(가칭) ▲라그나로크 크러쉬 ▲학원 삼국지: 초고교급 SLG RPG ▲프로젝트 데비루치(가칭) 등에 관심이 몰리며 신작에 대한 기대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라그나로크3'는 라그나로크 정식 넘버링을 단 타이틀로 지스타 시연 버전은 캐릭터 생성 및 커스터마이징과 함께 파티 시스템, 지하수로 던전, MVP 콘텐츠, GVE 콘텐츠 드래곤 레이드를 플레이할 수 있다.

 

라그나로크3는 미드가르드 대륙의 평화가 위태로워진 상황 속 모험가들이 세계의 평화, 개인의 이익 등을 위해 새로운 여정을 시작해 나가는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원작의 클래식한 그래픽과 BGM을 고퀄리티로 재현했으며 생생하게 구현한 캐릭터, 다양한 직업 시스템을 만날 수 있다.

 

동시 전투 시스템과 시즌제 방식을 도입해 기존 타이틀들과 차별화했다. 전투 시스템은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방식을 적용해 대규모 인원의 플레이어와 함께 현장감 넘치는 규모 있는 전투의 스릴감을 선사한다.

 

모바일, PC 및 콘솔 플랫폼별로 준비한 나머지 시연존에도 타이틀을 체험해 보기 위한 줄이 길게 늘어섰다.

 

▲ (왼쪽부터) 크리에이터 '박삐삐', 게임 해설가 '빛돌', 크리에이터 '수련수련'.  © 이한수 기자

 

인플루언서들과 함께한 무대 프로그램도 눈길을 끌었다. 게임 해설가 '빛돌', 크리에이터 '수련수련'이 MC로 등장해 그라비티의 출품작 소개부터 직접 플레이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1일차 게스트로는 크리에이터 '박삐삐'가 출연해 큰 호응을 얻었다. 

 

인플루언서와 관람객이 팀을 이뤄 겨루는 게임 대전에서는 흥미진진한 경기를 펼치며 뜨거운 현장 반응을 보였다.

 

이와 함께 그라비티는 타이틀 시연 후 START with GRAVITY 유튜브 채널을 구독한 관람객 전원에 '라그나로크 몬스터즈 쿠션'을 경품으로 증정했다. 추가 미션 수행 시 Razer 게이밍 기기 등 상품이 걸린 경품 뽑기 기회도 제공했다.

 

이외에도 그라비티의 지스타 특별 홈페이지와 START with GRAVITY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는 현장을 방문하지 못하는 유저들을 위해 그라비티의 부스를 실시간 라이브 방송으로 송출해 지스타를 가지 못한 시청자들로부터 만족감을 이끌어냈다.

 

정일태 그라비티 한국사업그룹장은 "올해는 더욱 많은 관람객분들이 그라비티 부스를 찾아주신 덕분에 지스타 일정을 성공적으로 출발했다"며 "남은 기간에도 재미있는 프로그램과 다양한 경품 이벤트가 준비돼 있으니 그라비티의 부스에 방문해 시연도 하고 풍성한 혜택도 받아 가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문화저널21 이한수 기자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홈페이지 하단 메뉴 참조 (ad@mhj21.com / cjk@mhj21.com)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