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정창영 사장, 용산 디폴트 사태에 책임 전가 "뻘뻘"

박진호기자 | 기사입력 2013/03/16 [14:44]

코레일 정창영 사장, 용산 디폴트 사태에 책임 전가 "뻘뻘"

박진호기자 | 입력 : 2013/03/16 [14:44]

[문화저널21·이슈포커스] 용산국제업무지구 디폴트와 관련해 코레일의 정창영 사장이 직접 나서 유감을 나타냈다. 그러나 현재 사태에 대한 책임을 민간사업자에게 돌리며 향후의 해결방안도 코레일이 주도권을 쥐게다는 뜻은 변함이 없었다.

정 사장은 15일, 서울시 중구 코레일 서울사옥에서 진행된 '용산 역세권 사업 정상화를 위한 제안 설명회'에서 용산 사업의 채무불이행 사태에 책임감을 느끼며 국민에게 심려를 끼쳐 대단히 죄송하다고 전했다.

그러나 사업이 디폴트 상태에 이르게 된 근본 원인은 민간투자자들이 협약서를 준수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문제의 책임을 이들에게 돌렸다. 코레일 측은 지난해 3월로 예정되어있던 전환사채 2,500억 원의 발행에 민간투자자들이 참여하지 않았으며, 최근 우정사업본부와의 소송을 통해 확보한 배상금 257억 원에 대한 지급보증에도 나서지 않아 현재의 사태에 직면하게 됐다고 주장했다.

특히 정 사장은 코레일에서 출자한 돈으로 민간출자사가 사업을 하는 현재의 구조에서 코레일이 지난 1년간 수많은 의견을 제시했지만 일방적으로 묵살을 당했다며 민간투자자들의 책임을 촉구했다.

그러나 정 사장은 땅값 자체와 관련해서는 언급을 피했다.코레일의 용산철도정비창 땅값은 원래 8천억 원대였지만 사업성을 과신한 건설사들의 치열한 입찰 경쟁 끝에 삼성 물산 컨소시엄 측은 10배에 이르는 8조원에 이 땅을 낙찰받았다. 현재 가치보다도 2배 이상 비싼 수준이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사업성이 악화된 원인이 지나치게 비싼 땅값에서 기인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코레일 측은 자본금을 5조원으로 증자하는 과정에서 땅값을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고 질의응답을 통해 밝혔지만, 이미 매각을 하고 세금까지 납부한 사항이라 임의로 결정할 수는 없고 정부의 승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진호 기자 contract75@mhj21.com

《인터넷종합일간지(문화저널21), 한 주간 빅뉴스를 주간신문으로 보는 (이슈포커스신문 Weekly Issue Focus News), 경제와 문화를 아우르는 종합월간지(이코노미컬쳐economy culture) 종합보도자료 수신 master@mhj21.com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